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3

Kubernetes 기술 개념 정리 4 25. Kubernetes 자동 확장 메커니즘Kubernetes는 Horizontal Pod Autoscaler(HPA)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CPU 사용률을 기반으로 한 Pod의 자동 확장 및 축소 기능을 구현합니다.HPA 컨트롤러는 주기적으로 대상 Pod의 리소스 성능 지표를 모니터링하고, HPA 리소스 객체에 정의된 확장/축소 조건과 비교합니다.조건이 충족되면 Pod의 복제본 수를 조정합니다. 26. Kubernetes Service 타입Service를 생성하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컨테이너 애플리케이션 그룹에 대해 통합된 진입 주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요청 부하를 백엔드의 각 컨테이너 애플리케이션으로 분산시킵니다. 주요 Service 타입은 다음과 같습니다:  ClusterIP:가상 서.. 2024. 12. 7.
Kubernetes 기술 개념 정리 3 17.  Kubernetes에서 Pod의 재시작 정책Pod 재시작 정책(RestartPolicy)은 Pod 내의 모든 컨테이너에 적용되며, 해당 Pod가 위치한 노드에서 kubelet에 의해 판단되고 재시작 작업이 이루어집니다. 어떤 컨테이너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되거나 헬스 체크에 실패하면, kubelet은 RestartPolicy의 설정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합니다.Pod의 재시작 정책에는 Always, OnFailure, Never가 있으며, 기본값은 Always입니다.Always: 컨테이너가 실패할 때, kubelet이 자동으로 해당 컨테이너를 재시작합니다.OnFailure: 컨테이너가 종료되고 종료 코드가 0이 아닐 때, kubelet이 자동으로 해당 컨테이너를 재시작합니다.Never: 컨테이너의.. 2024. 12. 5.
Kubernetes 기술 개념 정리 2 9.  Kubernetes 클러스터 관련 구성요소Kubernetes Master는 클러스터 전체 시스템을 관리하고 조정하는 제어 컴포넌트로,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합니다. 1. Kubernetes API ServerKubernetes 시스템의 진입점 역할을 하며, 핵심 객체의 생성, 삭제, 수정, 조회 기능을 제공.RESTful API 방식으로 외부 클라이언트와 내부 컴포넌트 호출에 사용.클러스터 내 모든 기능 모듈 간 데이터 교환과 통신의 중심 허브.2. Kubernetes Scheduler새롭게 생성된 Pod에 적절한 노드(Node)를 선택 및 할당.클러스터 자원의 스케줄링을 담당.3. Kubernetes Controller다양한 컨트롤러를 실행하여 Kubernetes 시스템의 정상 작동을 보장.. 2024. 12. 5.
Flutter 네이밍 관련된 주요 규칙 플러터에서 파일 및 클래스 네이밍 규칙은 프로젝트의 가독성, 유지보수성, 일관성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네이밍과 관련된 주요 규칙등을 정리한 글입니다.1. 일반적인 파일 네이밍 규칙파일 이름은 소문자와 밑줄(snake_case)을 사용합니다.Flutter의 스타일 가이드에서 권장하는 방식입니다.예: login_screen.dart, custom_button.dart네이밍 기준: 파일의 역할에 따라 나눕니다.1-1. 스크린 파일화면 단위의 파일은 _screen 접미사를 붙입니다.예: home_screen.dart, settings_screen.dart, profile_screen.dart1-2. 위젯 파일독립적인 위젯은 _widget 접미사를 붙이거나 이름만 작성.예: custom_butt.. 2024. 12. 4.
반응형